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겨울철 별미는 뭐가 있을까요. 무를 주세요?

by Ocean 크루저 2022. 1. 10.

문득 겨울에 즐겨먹는 음식이 무엇이 있을까 궁금해졌습니다. 요즘이야 코로나 시국으로 배달음식으로 많은 식사를 충당하고 있지만, 그래도 별미를 그냥 넘어갈 수 없겠죠. 어릴 적 따뜻한 이불을 덮고 즐겨 먹던 감귤은 당연히 1순위지만 이제는 사계절 즐겨 먹게 됐으니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에 유달리 맛있는 음식들

 

많고 많은 음식 중에 저는 겨울철 무를 먼저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너무 예전 기억이라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할아버지께서 집 뒤편 움막의 땅속에 저장된 무를 가져오시면 할머니가 깎아 주시곤 하셨는데요. 그때의 그 무 맛은 가히 천상의 맛이라 할 수 있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는 김장을 하면서 먹는 무도 좋았고요. 그래서 무가 왜 이리 맛있었나 알아보니, 무의 특성이 추울수록 단맛이 강해진다고 합니다. 또한 영양분도 풍부해져, 겨울의 인삼이라는 호칭도 생겼는데요. 지금은 시골에서도 저장된 무를 보기 어렵지만, 이 무를 이용한 음식은 정말 감칠맛이 납니다.

 

북방산개구리가 생각납니다. 정말 혐오식품(?)일텐데요. 양식으로도 나오고 있어 특정 마니아 층이 분명 존재합니다. 얼마 전 지인이 저와 함께 먹기를 권했는데요. 평생 개구리 음식은 먹어 본 적이 없기에 정중히 거절은 했습니다. 다만 어른들께 들은 과거의 기억에 따르면 단돈 만원이 귀했던 시절 북방산 개구리 양식장으로 서울의 알부자들이 찾아와 개구리 1kg을 사서 쓸개만 소주잔 한 잔으로 받아, 한 입에 털어 넣고 돌아갔다고 합니다. 그 개구리 쓸개가 남자의 그곳에 땀이 차는 것을 없애준다고 했다고 하는데요. 효험이 있으니 그리 찾아들 오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믿거나 말거나)

쎔네일입니다. 일러스트 개구리가 앉아 있는 모습

 

겨울철 보편식은 단연 대방어와 굴 일 텐데요. 방어는 늦가을부터 2월까지 산란기 전 기름이 듬뿍 오른 튼실한 방어를 횟집에서 구경할 수 있는데요. 너무 이르거나 늦으면 기름기가 없어 흐물거리고 맛이 덜한데요. 중요한 건 그 시기엔 방어사상충이 기승을 부립니다. 물론 겨울철에도 있습니다. 살아있는 사상충은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방어의 근육(살)에 머물었던 자리는 염증이 생길 수 있어 그곳을 먹게 되면 배탈, 복통 등이 수반될 수 있다고 합니다. 

 

굴은 보편적으로 날이 따뜻해지기 전까지 먹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제철은 9월 ~ 12월이라고 합니다. 그 시기가 신선하고 영양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김장할 때의 굴은 단연코 흰속살이 우윳빛깔 그 자체인데요. 굴을 고를 때는 살 가장자리에 검은 테가 선명한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 서식 중인 굴은 대표적으로 4종류입니다. 남해의 참굴과 큰 굴 서해의 잔굴, 동해의 바윗굴인데요. 우리가 주로 먹는 굴은 참굴입니다. 굴을 먹는 데 있어 풀리지 않는 숙제가 노로바이러스인데요. 이 것이 굴의 내장에 달라붙어 있어 간혹 장염을 일으키기고 합니다. 다만, 익혀 드시면 전혀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추가로 굴은 회를 즐겨먹지 않는 서양에서도 날것을 즐겨 먹습니다. 다만, 우리처럼 싸지는 않다는데요. 석화 한 개가 3천 원이라니, 우리의 양식 기술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추가로 과매기와 홍합을 들 수 있겠습니다. 과메기는 청어나 꽁치를 바람에 말려 먹는 음식인데요. 청어의 어획량이 현저히 감소하면서 현재는 꽁치 과메기가 대부분입니다. 김과 미역, 쪽파에 싸서 먹는 과메기는 정말 일품인데요. 그에 더해 오메가 3와 필수 아미노산도 풍부해서 혈관 개선과 겨울철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홍합은 다른 어패류와 마찬가지로 풍부한 타우린이 있는데요. 뜨끈한 홍합탕(붉은 살 조개)은 메인 안주가 나오기 전 소주 안주로 단연 최고가 아닐까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