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운전으로 집으로 향하던 중, 대리운전기사로부터 집 근처에 다 왔다는 통보를 받는다. 이때, 주차를 하려는 공간이 좁아 차주가 먼저 내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하지만 대리운전기사는 후진 주차를 하던 중 기둥에 차를 긁는 사고를 내고 마는데..
대리운전보험과 탁송기사보험의 차이
위와 같은 경우 과거 분쟁조정위원회 결정에 따라 탁송보험을 가입해야만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각 보험사별로 대리운전보험에 포함된 약관을 살펴봐야 하지만, 차주나 그와 관련된 의뢰자가 차에 함께 동승하지 않는 경우, 탁송으로 간주한 사례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리운전 서비스에서 탁송보험이 적용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동차만 특정 지역으로 보내는 경우 탁송보험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탁송으로 간주하고, 대리주차 역시 탁송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련 경우 대리운전업체가 대리운전보험 가입 시 특별약관에 내용을 포함시켜야만 합니다.
둘째, 대리운전 중에 고객이 특정 물건이나 짐을 운반하려고 할 때 탁송보험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고객의 물건이나 짐을 운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해나 사고에 대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대리운전 업체가 자체적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탁송보험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리운전 업체에서 시내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탁송보험이 필요합니다.
넷째, 대리운전 업체가 고객으로부터 특정 물건을 인수하고 배송해야 할 경우에도 탁송보험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응당 대리운전업체에 차를 맡겼기에, 대리운전보험으로 적용될 줄 알았지만, 위와 같은 경우 낭패를 당할 수 있습니다. 음주 후 대리업체를 고르는 일이 쉽지 않겠지만, 음주로 인하 회식이 잦다면, 단골 대리운전업체를 만들어 놓고, 업체의 보험가입 상태를 확인해 놓는 것도 좋은 방법인 듯합니다.
댓글